한방통신사 김성의 기자 | 김제시가 급변하는 AI 시대에 발맞춰 2025년 교육부 평생학습집중진흥지구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는 공공기관 및 일반 직장인 대상 실무형 생성 AI 교육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번 교육은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가 공공부문의 AI 실무 적용과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기관별 맞춤형 초거대 AI 컨설팅 지원을 강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책실협의 실무중심에 있는 공공기관 재직자를 대상으로 총 3기 과정으로 오는 4일까지 운영되며 중앙정부 정책과 지방정부 실행력이 결합된 발빠른 대응사례로 정부 AI정책흐름과 맞닿는 시의적절한 교육으로 평가된다.
특히 정부가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해 행정 효율화, 대국민 서비스 혁신, 사회현안 해결이 가능한 서비스 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정책 방향에 맞춰 실무중심 커리큘럼으로 진행된다.
즉시 업무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ChatGPT 등 AI 고급 활용법,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실무, △문서작성 자동화, △이미지·영상 생성 AI 활용, △업무 프로세스 혁신 방안 등 실무에 직접 적용 가능한 기술을 체계적으로 습득하고 △공문서 작성 효율화 △회의록 자동 생성 △정책자료 분석, △대민서비스 챗봇 활용, △데이터 시각화 등 공공업무 특성에 맞춘 AI 활용 노하우를 집중 교육하는 몰입형 교육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번 사업은 지난 4월 평생학습집중진흥지구 업무협약MOU체결을 통해 김제시(사업총괄, 교육대상 및 장소), 원광대학교(전문인력, 교육과정컨설팅, 교육비 지원)의 협력체계로 운영되는 적극행정으로 예산절감 효과와 함께 고품질의 교육이 제공될 수 있었다.
이밖에도 시는 △청소년 AI메이커 교육(초·중학생 30명), △AI 디지털헬스케어 체험교실(읍면지역 40개소 찾아가는 교육)이 운영될 예정으로 전 세대를 아우르는 디지털생활교육이 추진될 계획이다.
정성주 김제시장은 “이번 교육을 통해 공공기관 직원들의 업무 생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고, 대민 서비스 품질도 크게 개선될 것”이라며 “정부의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에 맞춰 디지털 워크시대를 미리준비하는 선도적인 지자체가 되겠다”고 밝혔다.
[뉴스출처 : 전라북도김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