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방송뉴스 통신사=신유철 기자) 지난 3월 25일, 봄기운이 채 완연하기도 전에 경북 안동 임하면에 닥친 거대한 산불은 수많은 이들의 삶을 송두리째 흔들었다. 특히 임하1리는 마을 전체가 잿더미로 변하며 가장 큰 상흔을 입었다. 집과 생계 기반을 한순간에 잃어버린 주민들은 사고 이후 두 달 가까이 마을회관에 모여 지내며 힘겨운 시간을 견뎌왔다.
무너진 삶터, 길어진 임시 거처 생활
이번 산불로 임하면에서 총 58가구가 주택 피해를 입었으며, 이 중 54가구는 완전히 불에 탔다. 집과 함께 농부들의 생명줄과도 같은 축사, 비닐하우스, 농기계 등 농업 기반 시설 대부분이 소실되면서 주민들은 망연자실했다. 임하1리 유창규 이장은 "생계와 직결된 시설들이 전부 무너져 막막하다"며, 아직 확정되지 않은 복구 계획에 대한 주민들의 불안감을 전했다.
집을 잃은 주민들 중 일부는 친척 집으로 거처를 옮겼지만, 여전히 35가구 72명에 달하는 이재민이 마을회관에서 공동생활을 이어오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으로 하루 세 끼 식사가 제공되고, 세탁기와 건조기, 1인용 샤워실 등이 마련되어 있지만, 수십 명이 함께 생활하는 공간은 턱없이 부족하다.
사생활 없는 공간… 몸과 마음의 피로 누적
길어지는 집단생활에 주민들의 피로감은 극에 달하고 있다. 한 주민은 "매일 같은 사람들과 부대끼며 사생활 없이 지내는 것이 가장 힘들다"며, "지원에 감사하지만, 마음 편히 발 뻗고 쉴 내 집이 간절히 그립다"고 하소연했다. 익숙하지 않은 환경과 예측할 수 없는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겹치면서 정신적으로도 지쳐가는 모습이 역력했다.

임시주택 설치 시작… 작은 희망의 불씨
이런 가운데, 주민들에게 작은 희망의 불씨가 피어오르고 있다. 5월 중순부터 마을 내에 임시주택이 설치되기 시작한 것이다. 유창규 이장은 "15일부터 23채, 18일에는 12채가 추가로 들어설 예정"이라며, "임시주택으로 옮겨가면 주민들이 조금이나마 안정감을 찾고 일상을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산불은 한 공동체 전체에 깊은 상처를 남겼지만, 주민들은 서로를 의지하며 다시 일어설 준비를 하고 있다. 임시주택은 완전한 복구가 이루어지기까지 머물 임시 공간이지만, 잃어버린 일상의 조각을 다시 맞춰나갈 출발점이 될 것이다. 유 이장은 하루빨리 모든 주민이 각자의 보금자리로 돌아가 평범한 삶을 되찾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덧붙였다. 잿더미 위에서도 삶은 계속된다는 의지가 임하1리 마을에 조심스럽게 피어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