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통신사 신유철기자 기자 | 산림청은 지난 2018년부터 이어온 평창동계올림픽 가리왕산 활강경기장의 사후 복원 및 활용을 둘러싼 갈등이 이해관계자 간 심도있는 논의를 통해 최종 합의에 도달하면서 원만하게 갈등이 일단락됐다고 24일 밝혔다.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가리왕산 활강경기장은 산림복원을 전제로 조성됐으나, 올림픽 이후 지역주민들이 곤돌라 활용을 요구하면서 복원을 요구하는 단체와의 입장차이로 갈등이 발생했다. 이에 따라 2021년 국무조정실이 주관한 ‘가리왕산 합리적 복원을 위한 협의회’에서 2024년 말까지 곤돌라를 한시적으로 운영하고, 이후 산림청에서 최종 유지 여부를 검토하기로 합의했다.
산림청은 지난해 약속된 곤돌라 한시 운영기한이 도래함에 따라 가리왕산 곤돌라를 둘러싼 갈등 재발을 우려해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환경단체와의 지속적인 소통을 이어왔다. 정책 결정 과정에 이해당사자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2024년 7월 이해관계자 중심의 협의체 구성에 착수하고, 같은해 11월 4일 공식 출범한 뒤 총 12차례의 회의를 거친 끝에 올해 3월 24일 최종 합의에 도달했다.
이번 합의는 산림을 활용한 지역 활성화와 환경 보호라는 두 가지 가치를 이해관계자가 직접 참여해 상대방의 입장을 공감하면서 대립이 아닌 조화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특히, 이번 사례는 민간위원 주도로 협의체를 운영하고, 정부는 운영을 지원함으로써 정책 결정과정에 민간의 의견을 최우선적으로 반영했다는 점과. 상호 대화와 협의를 통해 합의점을 찾아 가리왕산의 합리적 보전활용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갈등조정의 모범사례로 평가된다.
이날 임상섭 산림청장을 대신해 참석한 최영태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은 “자연과 사람이 공존하는, 자연과 조화로운 삶을 위해 가리왕산 산림복원과 올림픽 유산활용의 세계적 모델을 만들어 상생협력의 본보기가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산림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