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6 (목)

  • 맑음동두천 -9.1℃
  • 맑음강릉 -3.4℃
  • 맑음서울 -6.7℃
  • 맑음대전 -4.7℃
  • 맑음대구 -3.6℃
  • 맑음울산 -2.1℃
  • 광주 -4.4℃
  • 맑음부산 -1.7℃
  • 흐림고창 -6.8℃
  • 제주 2.4℃
  • 맑음강화 -8.0℃
  • 맑음보은 -6.9℃
  • 맑음금산 -6.1℃
  • 구름많음강진군 -1.8℃
  • 맑음경주시 -3.0℃
  • 구름조금거제 -0.7℃
기상청 제공

환경

제주시, 대형폐기물 배출신청 꾸준히 증가

올해 9월까지 26만 5,633건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약 11.0% 증가

(생활환경과) 제주시, 대형폐기물 배출신청 꾸준히 증가.png

 

제주시가 올해 9월까지 신고·처리한 대형폐기물은 265,633건으로, 작년 동기 239,214건 대비 약 11.0% 증가했다.

* 세입은 1,186백만원으로 작년 동기(1,056백만원)대비 약 130백만원 증가

 

이처럼 대형폐기물 신청 건수가 증가하는 이유는 생활패턴 변화로 인한 소비 심리 상승과 더불어 제주지역 음식·숙박업의 폐업률 증가도 원인이 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제주특별자치도 폐기물 관리 조례일부 개정(‘23.5.10.)에 따라 지난 202371일부터 대형폐기물 품목*이 세분화됨으로써 배출신청 시 품목 지정에 대한 혼란이 다소 해소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 품목: 기존) 75개 품목 134개 규격 변경) 157개품목 305개 규격

 

대형폐기물 배출 신청은 가까운 읍면동으로 직접 방문하거나 제주시 대형폐기물 누리집을 통해 접수하면 되고, 신고필증 부착 후 배출하면 된다.

 

대형 가전제품의 경우 한국전자제품 자원 순환공제조합(1599-0903)을 이용하고, 소형가전인 경우 가까운 재활용도움센터로 무상 배출이 가능하다.

 

이렇게 배출된 가전제품류를 제외한 다양한 대형폐기물은 제주광역생활자원회수센터로 수거되어 해체 및 파쇄 등의 과정을 거쳐 구리, 고철 등 유가 자원을 회수한 후 소각 또는 매립하게 된다.

 

홍권성 생활환경과장은 대형페기물 배출신청 전 사용가능한 것은 기부하거나 중고거래 플랫폼 등을 통해 판매하도록 하여 자원순환에 동참할 것을 권장한다, 아울러 대형페기물의 원활한 수거를 위해 청소차량이 통행 가능한 장소에 배출일자를 준수하여 배출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