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의 사회공헌은 단순한 기부나 보여주기 행사가 아니다.
기업이 지역과 함께 호흡하며 책임을 다하겠다는 선언이고, 공동체와의 약속이다.
그러나 LS그룹을 바라보는 동해시의 시선은 갈수록 싸늘해지고 있다.
최근 LS그룹이 안성시에서 벌인 김장 나눔 행사는 아름다웠다.
임직원이 함께 김장 11톤을 담그고, 이불과 벌꿀까지 보태 소외계층에 전달했다.
수도권 중심의 사회공헌 프로그램도 화려하다. ESG경영을 앞세운 LS 러브 스토리 등 여럿의 좋은 프로그램이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온기는 정작 기업의 핵심 생산기지가 위치한 동해시에는 거의 닿지 않는다.
더욱 문제는, 지역언론과의 최소한의 소통조차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LS전선 동해사업장의 책임자인 공장장은 지역언론인 본지와의 면담 요청에 단 한 번도 응하지 않고 있다.
지역이 묻고, 지역이 호소하고, 지역이 질문해도 기업은 끝내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지역언론은 지역사회의 눈과 귀다.
그 언론을 무시한다는 것은 곧 지역민을 무시한다는 말과 다르지 않다.
기업이 지역에서 수십 년 동안 생산 활동을 이어오며 어떤 혜택을 누려왔는가.
토지, 인프라, 인력, 행정적 지원…
지역 주민의 삶 위에 공장이 세워지고, 지역의 희생과 협력 속에 기업의 성장이 이루어져 왔다.
그런데 지역의 질문에는 답하지 않고, 언론의 의견에는 귀를 막고,
지역사회와의 소통은 ‘선택’이 아니라 ‘회피’의 영역으로 간주된다면
그 기업이 과연 그 지역에 있을 이유가 있는가.
LS그룹은 수도권에서는 스스로를 ‘이웃과 동행하는 따뜻한 기업’이라 부른다.
그러나 동해시에서는 침묵과 무시가 CSR의 전부라면,
이는 이중적이며 책임을 회피하는 모습으로 비칠 수밖에 없다.
사회공헌이란 카메라 앞에서 김장을 담그는 행사가 아니라,
기업이 뿌리 내린 지역과 진짜로 마주 앉아 소통하는 데서 출발한다.
지금 필요한 것은 홍보용 미담이 아니라,
지역과의 대화에 응하는 최소한의 성의다.
지역은 언제나 기업을 환영해 왔다.
이제는 기업이 응답해야 한다.
LS그룹이 동해시를 ‘생산기지’가 아니라 ‘파트너’로 대하는 날,
비로소 진정한 ESG와 상생이 시작될 것이다.
한방통신사 양호선기자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