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전기가 '당연히' 공급되는 세상에 익숙해져 있다. 그러나 이 편리함 뒤에는 보이지 않는 불균형과 낭비가 도사리고 있다.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는 수백 킬로미터 떨어진 발전소에서 생산되어 복잡한 송전망을 거쳐 도달한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과 지역 간 불균형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에는 약 34기가와트(GW)의 태양광 발전 설비가 계통망 부족으로 인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전라남도와 전라북도, 경상북도 등 지방에 설치된 재생에너지 발전소는 수도권으로 전기를 보내기 위한 인프라가 부족하여 생산된 전기를 활용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지역은 전국 전력 소비량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 지역의 전력 자립도는 낮아, 대부분의 전기를 지방에서 공급받고 있다. 이로 인해 지방에서는 전기를 생산하고도 활용하지 못하는 반면, 수도권은 전력 부족에 시달리는 불균형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중앙집중형 전력 시스템에서 벗어나 지역 분산형 전력망 구축이 필요다. 정부는 최근 '전력망위원회'를 신설하여 송전선망 건설을 국가 차원에서 지원하고, 건설 기간을 단축하는 등의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에게 송·배전망 사용료를 부과하여 전력망 투자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재생에너지 확대는 단순한 환경 문제가 아니라, 에너지 정의와 지역 균형 발전의 문제이기도하다. 전기를 많이 소비하는 수도권은 전력 생산 능력을 갖추거나, 전력 소비를 줄이는 방향으로 나아가야한다. 또한, 지방은 생산된 전기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계통망을 확충하고, 지역별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는 정책이 필요하다.
한방통신사 양호선기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