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방통신사=양호선 기자) 강원특별자치도(도지사 김진태, 이하 ‘도’)는 2월 14일 ‘2025년 정부 업무보고 대응 전략회의’를 열어, 정부의 주요 정책 방향에 맞춰 도의 핵심 과제를 정리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회의에는 행정부지사와 실·국장이 참석해 전략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이번 정부 업무보고는 국정 운영의 공백을 최소화하고 국민 생활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①경제 활성화, ②취약 계층 보호, ③민생 안정 및 미래 성장 동력 강화, ④안전한 사회 조성, ⑤외교·안보 대응 등 5개 분야로 나누어 진행됐다.
도와 밀접하게 연계된 정부 정책으로는 반도체, 바이오, 수소, 미래차, 푸드테크 등 첨단 산업 육성, 지역 경제 회복 지원, 기회발전특구 및 연구개발특구 조성을 통한 투자 활성화, 그리고 고속철도 및 도로망 확충 등이 포함됐다.
또한, 지방자치 강화를 위한 상향식 특례 부여 제도 신설, 생활 인구 개념 도입 확대, 광역형 비자 시범 운영 등 다양한 정책도 논의되었다.

이에 따라, 도는 정부 정책과 연계된 기존 사업을 핵심 과제로 선정해 지속 추진하는 한편, 새롭게 도입되는 제도나 시범 사업에 대해서는 중앙 부처와 협의를 거쳐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부처별 동향을 면밀히 파악하고, 체계적인 사업 계획을 수립하여 선제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특히, 반도체 K-소재·부품 생산 거점 조성, 지역 기술 혁신 허브 운영, 스마트 농업 전환 및 농업 기반 첨단 산업 육성, 용문~홍천 광역철도 조기 착공 등을 정부 정책과 연계해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여중협 강원특별자치도 행정부지사는 “오늘 논의된 사업뿐만 아니라 도민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추가적인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해야 한다”며 “중앙부처와 협력하여 2026년 국비 확보와 도의 주요 현안이 정부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 대응해 달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