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철민 국회의원(대전 동구)이 26일 대전시청을 향해 ‘이전 공공기관 대전 범시민 유치위원회’ 구성을 공식 제안했다. 장 의원은 이날 배포한 입장문에서 “이재명 정부가 2차 공공기관 이전 착수를 국정과제로 명확히 밝혔다”며 “대전이 행정적 준비 부족으로 또다시 기회를 놓쳐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장 의원은 문재인 정부 시절 어렵게 출발한 대전 혁신도시 정책이 윤석열 정부 기간 사실상 중단됐다고 진단하면서, “다시 돌아온 골든타임에 맞춰 대전이 선제적으로 이전 부지와 수용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특히 이장우 대전시장을 겨냥해 “기초적인 담당조직조차 지정하지 않았고, ‘메가충청스퀘어’ 조감도 하나로 모든 준비 소홀을 가릴 수 없다”고 비판했다.
그는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활동 사례를 들며 “기상산업기술원처럼 대전 이전 의향이 뚜렷한 기관도 완전 이전 부지를 애타게 찾는 상황”이라며 “도시가 수용 능력을 보여주지 못해 기회를 흘려보내는 것이 대전의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충남혁신도시는 이전 부지 지정과 정주여건 조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비교했다.
시정 전반에 대한 쓴소리도 이어졌다. 장 의원은 “0시 축제는 방문객 수치에 집착한 채 교통 혼잡과 소음, 원도심 상권 피해를 키웠다”며 “시민 축제가 대행사 행사로 전락했다”고 했다. 그는 “유튜브 조회수보다 시민 삶을 우선해야 한다”고도 했다.
이장우 시장의 혁신도시 내 부동산과 관련한 문제 제기도 포함됐다. 장 의원은 “시장 본인이 혁신도시 한복판에 109평 규모의 주택을 신축했고, 국회의원 시절 배우자가 매입한 빌딩도 혁신도시 부지 안에 있다”며 “집터 찾는 노력의 절반만 공공기관 유치에 쏟았다면 임기 3년을 허송세월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비판 수위를 높였다.
장 의원이 제안한 ‘범시민 유치위원회’는 시민사회와 학계, 재계, 기초지자체, 여야 정치권이 함께 참여하는 민관합동 협의체다. 그는 “대전 밖 지역들이 이미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며 “지자체장과 국회의원, 민과 관이 힘을 합쳐야 할 때”라고 구성 필요성을 설명했다. 아울러 “어려운 역할도 마다하지 않겠다. 시장이 대전의 미래를 걱정한다면 함께해 달라”고 협력을 요청했다.
이번 제안은 8월 26일자로 발표됐다. 대전시의 공식 입장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한방통신사 신태공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