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통신사=양호선 기자) 강원도는 최근 ‘강원개발공사(강개공)-중도개발공사(GJC)’의 영업 양수도를 둘러싼 논란 속에서, 이를 추진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나섰습니다. 정광열 경제부지사는 13일 기자브리핑에서 GJC의 재정 위기와 관련해 도가 대위변제한 2,050억 원을 회수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은 영업 양수도뿐이라고 설명했습니다.
GJC의 재정난은 지적공부정리(토지 측량·분할 작업)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하중도 토지를 선분양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습니다. 이 과정에서 매입자 간 이해충돌이 발생하고 다수의 계약이 파기되면서 문제가 심화됐습니다. 정 부지사는 이러한 계약 과정이 전임 도정에서 이뤄진 것임을 언급하며, 현 상황에서 가장 합리적인 해결책이 영업 양수도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도의회에서는 영업 양수도 추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정재웅 도의원은 도의회 자유발언을 통해 “도민의 이익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다”며 “도민 혈세로 운영되는 사업임에도 정작 도민이 의사결정 과정에서 배제됐다”고 비판했습니다.
이에 대해 정광열 부지사는 “GJC의 법인가치를 흑자로 돌려놓기 위해서는 2,050억 원의 대위변제금 조정이 필수적”이라며, “영업 양수도 방안이 도의 재정 피해를 최소화하고, 장기적으로 도에 가장 이익이 되는 선택”이라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GJC의 영업 양수도가 강원도의 재정 부담을 줄일 현실적인 대책으로 부상하면서, 도의회와 도민들의 향후 반응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