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 이재한 의원, “어르신 전용 건강관리 앱 개발” 제안

  • 등록 2025.09.16 22:24:51
크게보기

돌봄 통합 시행 앞두고 초고령사회 대비한 맞춤형 정책 필요성 강조

이재한 자치행정교육 위원장은 2025년 9월 11일 제295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어르신 건강관리 체계 강화를 위한 ‘시니어 전용 앱’ 개발을 제안했다. 이 의원은 “내년 3월 전면 시행 예정인 돌봄통합지원 서비스가 진정한 통합·체계화를 이루려면, 어르신 맞춤형 디지털 플랫폼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광명시는 현재 보건소와 사회복지국 등 다양한 부서에서 고혈압·당뇨병 예방, 어르신 건강관리 사업, 노인회관 및 시니어클럽 운영 등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그러나 초고령화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선 분산된 정책과 정보를 한 곳에 모으고, 건강관리와 사회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통합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광명시의 65세 이상 인구(7월 기준)가 52,630명(전체 인구의 18% 이상) 에 달하고, 60~64세 인구만 해도 22,178명으로 65세 이상 인구의 약 48%에 이르는 점을 언급하며 “두 연령층을 합치면 약 74,000명으로, 이는 광명시 전체 인구의 25%를 넘어선다. 단순한 금전 지원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건강한 노년과 사회참여를 유도해 사회보장 비용을 절감하는 적극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시니어 전용 앱에 ▲연령별 운동·건강 프로그램 ▲예방접종 및 보이스피싱 방지 교육 ▲운전면허 반납 교육 ▲체육·사회교육 활동 등을 참여 인센티브와 연계해 운영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또 “거동이 불편한 80대 이상 고령층의 출석체크 여부를 건강 이상 신호로 파악해 선제적 방문이나 연락을 할 수 있어, 고독사 예방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디지털 기기 활용이 익숙하지 않은 어르신들을 위해 “평생학습원의 디지털 교육과 연계해 시니어 앱 사용법을 적극 홍보하고, 참여 인센티브를 부여한다면 정책 이용률을 크게 높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재한 의원은 “광명만의 맞춤형 시니어 건강관리 앱을 통해 돌봄 통합 서비스의 완성도를 높이고, 어르신들이 더 건강하고 활기찬 노년을 보낼 수 있도록 적극적인 검토와 추진을 부탁드린다”며 발언을 마무리했다.

 

한방통신사 김동현 기자 |

관리자 ja-media@hanmail.net
Copyright @한방통신사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 서울시 종로구 김상옥로 17,206호(연지동,대호빌딩) 등록번호: 서울,아04122 | 등록일 : 2017-12-21 | 발행인 : 신유철 | 편집인 : 신유철 | 전화번호 : 02-766-1301 성남시자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성남대로 1262(동신타워 3층) 전화번호 031-754-1601 호남지사 :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동 라인1차 APT(101동 104호) 전화번호 062-944-6437 강원지사 :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정상로 90 상가 204호 전화번호 033-572-0369 충남지사 : 대전광역시 동구 대전로 646 효동현대아파트 전화번호 010-5588-2993 Copyright @한방통신사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