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통신사 신다은기자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은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에 따른 학생 맞춤형 진로·학업 설계 체계 강화 및 교사 업무 부담 해소를 위해 다양한 지원 방안을 마련했다고 24일 밝혔다.
고교학점제는 학생이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맞춰 과목을 선택하고 이수 기준을 충족하면 학점을 취득해 졸업하는 제도로, 올해 전면 시행되면서 사교육 의존 증가, 출결 처리 복잡화, 공강 시간 운영 어려움 등의 우려가 제기돼왔다.
이에 전북교육청은 △사교육 컨설팅 증가 △출결 처리 업무 과중 △최소 성취 수준 보장 지도 부담 △공강 시간 운영의 어려움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사항 과다 등 5대 현안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 학교 현장을 지원한다.
먼저 사교육 컨설팅 증가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고1 학생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맞춤형 진로·학업 설계 상담을 운영하고, ‘진로학업 설계 전문가 그룹’을 중심으로 교사 역량을 높인다. 이미 학생용 진로·학업 설계서를 학교에 배포했으며 교사용 진로·학업 설계 지도서 및 지도 영상 자료 등은 5월 중 추가 배포할 예정이다.
출결처리 업무 과중 문제는 나이스 출결 시스템을 개선해 대응 중이다. 교과교사와 담임교사가 출결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1·2차 기능 개선을 완료했고, 교시별 과목 정보 확인, 비고 입력 기능 강화 등으로 업무 효율성을 높였다. 현장 의견을 반영한 3차 개선도 추진 중이다.
최소 성취수준 보장지도와 관련해서는 미이수(예정) 학생에 대한 예방·보충 지도 체계를 강화한다. 학교별 맞춤형 컨설팅을 통해 EBS 콘텐츠 활용, 개별 과제 제시 등 다양한 지원 방안을 안내하고 교사를 위한 연수와 자료 제공도 병행 중이다.
공강 시간 운영 지원을 위한 ‘학점제형 학교 공간 조성 사업’도 지원했다. 도내 113개교에 자율 학습 및 진로 설계 공간을 마련했고, 자기주도학습과 진로 탐색 중심의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안내해 공강 시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방식의 변화와 관련해서는 지난 3월 ‘2025학년도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요령’설명회를 통해 주요 내용을 전달했고, 향후 학교별 맞춤형 컨설팅을 통해 지속적인 지원을 이어갈 계획이다.
희망하는 학교를 대상으로는 ‘찾아가는 맞춤형 컨설팅’도 운영한다.
최은이 중등교육과장은 “고교학점제는 학생 중심 교육과정 실현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현장의 혼란을 최소화하고 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학생 맞춤형 컨설팅과 교원 역량 강화 등 다각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