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건설이 탄소중립 시대’에 발맞춘 친환경 에너지 생산 사업에 본격 나선다.
전통적 건설 분야를 넘어 지속가능한 에너지 인프라 기업으로의 변화를 선언한 셈이다.
GS건설은 최근 재생에너지 기반의 전력 생산 사업 확대를 공식화하며,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ESS(에너지저장장치)등을 중심으로 한 친환경 전력 공급 체계를 본격 구축 중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건설·플랜트 중심의 사업 포트폴리오를 탈피해, ‘탄소중립’과 ‘에너지 전환’이라는 미래 먹거리에 전력 투입하겠다는 전략이다.
GS건설은 이미 연료전지 발전소와 태양광 발전소의 직접 개발 및 시공, 운영에 나서며 기술력을 내재화하고 있다. 특히, 도시형 분산전원으로 각광받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분야에 집중 투자해, 친환경 전력과 열을 동시에 생산하는 ‘고효율 에너지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ESS 기반 스마트 전력망 구축도 병행해, 전력 수요조절 및 피크부하 저감에 기여하는 한편, 안정적인 전력 공급과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도모할 계획이다.
GS건설은 이번 전기 생산 사업 확대를 통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천과 RE100(100% 재생에너지 사용) 달성에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특히 건설 현장의 탄소 배출 감축, 친환경 자재 활용, 저탄소 설계 등과 연계해, ‘친환경 건설 솔루션’을 구축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GS건설 관계자는 “앞으로의 건설기업은 단순한 구조물 시공을 넘어 도시와 삶의 지속가능성을 설계하는 에너지 공급자로 거듭나야 한다”며, “친환경 전기 생산은 우리 기업이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핵심 동력”이라고 강조했다.
GS건설의 이번 전략은 단순한 ‘신사업 진출’이 아닌, 기업 체질 전환의 일환으로 읽힌다.
석유·가스 기반 산업 구조에서 탈피해, 지속가능하고 탄소중립적인 미래 에너지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강한 의지가 반영돼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GS건설의 행보에 대해 “건설업계의 새로운 성장 축으로 ‘에너지 전환’이 부상하고 있는 만큼, 이는 매우 전략적 선택”이라며, “향후 대형 건설사들이 너나 할 것 없이 친환경 전력 분야에 뛰어드는 도화선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GS건설의 친환경 전기 생산 행보는 건설산업 전반에 ‘녹색 전환’의 신호탄을 쏘아 올리고 있다.
한방통신사 양호선기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