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 일부 시군과 그 산하 기관에서 공직자들의 리베이트 수수 행위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이 같은 부패 행태에 조달 공급업체들은 공분을 터뜨리며, 공공조달 시스템 전반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고 있다고 강하게 성토하고 있다.
정부는 기존의 불투명한 입찰 방식을 개선하고, 고품질 민간 제품을 경쟁을 통해 효율적으로 공급하고자 ‘나라장터 쇼핑몰’ 시스템을 운영 중이다.
그러나 일선 수요기관에서 구매 결정권을 쥔 공직자들이 이를 악용해, 특정 업체로부터 리베이트를 받고 있다는 충격적인 내부 제보가 확인되었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비위 행위가 일부 기관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도내 전역의 지자체 및 산하기관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는 점이다.
특히 시·군청의 감시망을 벗어난 독립 산하기관들에서는 예산 집행 과정에서 비리가 더욱 조직적이고 노골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급업체 관계자들은 “담당자의 눈밖에 나면 거래 자체가 어렵고, 리베이트 없이는 계약조차 논의되지 않는다”며, “공정 경쟁이 무너진 상황에서 성실한 중소기업은 살아남을 수 없다”고 울분을 토했다.
이처럼 공공 예산이 일부 부패한 공직자와 비양심적인 업체의 유착으로 인해 유출되고 있다는 점은, 단순한 행정 비효율을 넘어선 명백한 범죄 행위다.
이는 국민 세금의 낭비이자, 중소기업의 경쟁력 약화와 일자리 창출 저해, 지역 경제의 활력을 갉아먹는 암적 존재로 작용하고 있다.
이제는 더 이상 방관해서는 안 된다. 강원특별자치도는 이러한 부패 관행이 도 전반의 발전을 저해하는 심각한 리스크임을 분명히 인식하고, 강도 높은 감사와 관련자에 대한 엄중한 처벌을 통해 뿌리 뽑아야 한다.
국민의 혈세가 더 이상 부정한 세력의 먹잇감이 되어선 안 된다.
한방통신사 양호선기자 기자 |